알코올 중독의 원인 치료 알코올의존증 자가진단

친구 중에 술을 아주 좋아하는 친구가 있어요. 사람을 만나지 않을 때도 집에서 매일같이 소주를 마시는 친구인데, 예전부터 옆에서 봐왔던 친구들은 걱정 반 농담 반 알코올 중독이라고 이야기를 하더군요. 우리가 흔히 알코올 중독이라고 하는 것은 의학적으로 알코올 중독이라고 말합니다.

저희 주변에는 의외로 알코올 중독이라는 알코올 중독에 대해서 소개를 해 드렸는데요. (본 내용에서도 용어를 혼용하였습니다) 알코올 중독알코올 중독이란 스스로 조절되지 않는 음주 패턴으로 인해 생활에 지장을 받고, 그 지장으로 인해 제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알코올 중독의 원인1. 생물학적 원인 생물학적 원인은 알코올 중독의 원인의 약 60%까지도 설명하는 중요한 원인입니다.

뇌에는 보상 회로가 있어 우리들이 행복을 느낄 때에 도파민이 나오고 보상 회로가 작동합니다.

그래서 어떤 좋은 경험을 하면 나중에 그 행동을 가하게 되는데 알코올이 이런 보상 회로를 자극할 수 있겠어요.더 중요한 것에 알코올은 매우 짧은 시간에서 도파민의 양과 행복감을 크게 작용시키기 때문에 알코올을 섭취하는 행동에 의한 탐닉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2. 심리 사회적 원인 심리 사회적 원인은 다시 심리적 원인과 사회 문화적 원인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심리적 원인은 개인이 있는 힘든 상황에 놓이고 있거나 그런 심리적 원인에서 음주를 많이 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사회 문화적인 원인은 이 사회가 음주를 허용 여부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지만, 예를 들면 술 한잔 거하게 먹고 필름이 지나도 괜찮아, 사회 생활하려면 그 정도는 어쩔 수 없어라고 그런 문화가 퍼지고 있는 환경에서는 보다 쉽게 알코올 의존증에 빠질 것입니다.

알코올 의존증은 이들 생물학적, 심리 사회적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일어나죠.알코올 중독 진단알코올 중독은 알코올 사용 장애(alcoholuse disorder) 진단 기준에 따라 진단되지만, 기준 안에는 조절할 수 없는 음주 패턴과 내성/금단 문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진단기준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되는 것은 조절할 수 없는 패턴의 문제인데 그러한 갈망에 대한 기준이 9개 있고 내성과 금단에 대한 기준이 2개로 총 11개 기준 중 2개 이상 해당되면 알코올 사용장애라는 진단을 받게 되며, 진단기준항목에 많이 해당할수록 경도, 중등도, 중증으로 구분된다고 합니다.

알코올사용장애진단기준정신의학에서 이런 알코올 의존증을 진단하는 데는 1년 기준을 두고 있는데 적어도 지난 1년간의 음주 패턴이 알코올 중독에 부합하면 중독으로 진단된다고 하고, 술을 얼마나 마시면 중독이 되는지에 대한 절대량 기준은 없다고 합니다.

이것은 음주량이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입니다.

알코올 의존증 치료알코올 의존증의 치료는 크게 급성기 치료와 장기 치료로 나누어집니다.

급성기 치료는 해독 치료인데 알코올을 꾸준히 오래 섭취한 사람은 다양한 신체 문제도 가지고 있으므로, 처음에 간장, 위장, 췌장 등에 문제가 없는지 검사를 하고 치료하게 된답니다.

또 중요한 것은 알코올이 원래 신경을 억제하는 신경 억제 물질이지만, 뇌가 그런 억제 상태에서 꾸준히 있어 갑자기 중단되는 억제가 풀리고 지나친 흥분 상태를 초래한다는 것입니다.

그 때문에 그런 흥분 상태를 억제하면서 균형을 맞추는 벤조 디아제핀 계열의 약물 치료를 합니다.

그래서 종합적으로 영양분, 비타민, 벤조 디아제핀 등의 수액 치료가 필요한 것으로 특히 음주 기간이 길었던 경우 입원 치료가 필요하게 될 수도 있다고 합니다.

또 알코올 의존증은 장기 치료를 하게 되는데, 이는 알코올 중독이 매우 만성적이고 재발하기 쉬운 질환이기 때문입니다.

정서 관리가 매우 중요하므로 동기 강화 상담, 동기 강화 치료, 인지 행동 치료 등 심리 사회적 치료를 병행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또 알코올 의존증의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치료를 포기하지 않는 것이지만 이 병은 만성 질환으로 우리 사회에는 알코올에 대한 유혹이 너무 많아서 치료를 결심한 가도 실패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알코올 의존증의 치료에 있어서 할 방법은 많이 있으므로 그런 실수를 교훈으로 포기하지 않고 극복할 중요합니다.

또 가족이 환자를 바라보자 개인의 성격과 의지 부족하다고 생각하고 환자에게 지겨워서 화 내는 경우가 있고, 그런 문제로 갈등이 생기는 경우가 많지만 실제로 이 질환은 뇌 질환적인 문제도 있기 때문에 환자가 뭔가 치료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그래서 알코올 중독자의 가족이 모여서 의견을 교환하고 애로를 나누는 모임에 참석하는 것도 가족에 도움이 되는 방법이라고 합니다.

본 내용은 고려대 안산 병원 정신 건강 의학과 신·철민 교수의 알코올 의존증 강의 내용과 서울대 병원 의학 정보를 참고했습니다.

error: Alert: Content selection is disabled!!